블록 스토리지 연결 방법

블록 스토리지를 생성 후 가상서버에 연결하기 위해서는, 웹 콘솔에서 블록 스토리지 연결을 한 뒤, shell에서 직접 mount 해줘야 합니다.

1. 블록 스토리지 생성

스토리지 > 블록스토리지

콘솔에서 "블록 스토리지 생성" 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.

(1) 기본정보 입력

  • 이름

    • 블록 스토리지 이름을 입력합니다.

    • 이름은 20자까지 지원이 가능하며, 영어, 숫자 및 특수문자 '-'만 사용이 가능합니다.

  • 설명

    • 설명을 입력 합니다. (필수사항 X)

  • 용량

    • 블록 스토리지 용량을 입력 합니다.

    • 블록 스토리지 용량은 10GB부터 1000GB까지 설정 가능하며, 10GB 단위로 입력해야 합니다.

    • 블록 스토리지는 생성 후에 확장할 수 있습니다.

기본 정보를 입력한 후, 버튼을 눌러 블록 스토리지를 생성합니다.

2. 블록 스토리지 연결

가상서버에 블록스토리지를 연결합니다.

다음 두 방법 중 한가지를 선택하여 작업합니다.

(1) 블록 스토리지 메뉴에서 연결하기

스토리지 > 블록 스토리지

사용할 블록 스토리지를 선택합니다.

연결할 가상서버를 선택 후 연결 버튼을 클릭합니다.

(2) 가상서버 메뉴에서 연결하기

서버 > 가상서버

가상서버에 연결할 블록 스토리지를 다중 선택할 수 있습니다.

가상서버를 선택 한 후, 기능별 설정에서 "블록 스토리지 연결"을 클릭합니다.

해당 가상서버에 연결할 블록 스토리지를 선택합니다.

3. 연결된 블록 스토리지 정보 확인

서버 > 가상서버

가상서버를 선택한 후, 기능별 설정에서 가상서버에 연결된 블록 스토리지 정보를 확인합니다.

4. 블록 스토리지 파티셔닝

가상서버에서 블록 스토리지를 파티셔닝 합니다.

주의사항

새 블록 스토리지가 아닌 기존의 데이터가 있는 블록 스토리지의 경우,

해당 작업 없이 바로 6. 디스크 마운트하기 과정을 진행하시면 됩니다.

(1) 디스크 정보 확인

"fdisk -l" 명령어로 디스크 정보를 확인합니다.

(2) 파티션 구성 하기

a. fdisk /dev/vdc 명령어로 파티션 작업을 진행 합니다.

b. Command (m for help): n 새로운 파티션을 생성합니다. ※ 참고사항

c. Select (default p): p

"p" 입력후 나오는 값들에 default 입력하시거나 엔터를 쳐서 결과값을 넘어갑니다.

d. Command (m for help): w 저장합니다

5. 파일시스템 생성 하기

주의사항

새 블록 스토리지가 아닌 기존의 데이터가 있는 블록 스토리지의 경우,

해당 작업 없이 바로 6. 디스크 마운트하기 과정을 진행하시면 됩니다.

(1) 파일 시스템 생성하기

mkfs.xfs /dev/vdc1 으로 파일시스템을 생성합니다.

ext4, ext3, ext2 등 다양한 파일시스템이 지원됩니다.

(2) 파일 시스템 설정 확인

fdisk -l 명령어로 파일시스템 설정을 확인 합니다.

6. 디스크 마운트하기

(1) 디스크 마운트

마운트할 디렉토리를 생성 후 디스크 연결작업 진행 합니다.

a. mkdir /data 로 디렉토리를 만듭니다.

b. mount /dev/vdc1 /data/ 마운트 합니다.

c. df -h 명령어로 /data 폴더와의 연결을 확인합니다.

(2) fstab 등록

가상서버 재부팅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마운트 진행 하려면 아래와같은 방법을 적용합니다.

blkid 명령어로 디스크에 UUID 값을 확인합니다.

블록 스토리지 연결/해제 시 디바이스명이 바뀔 수 있기 때문에 자동 마운트 시에는 UUID를 입력합니다.

"vi /etc/fstab" 명령어로 /etc/fstab 파일을 열어 수정합니다.

※ 참고사항

fdisk 명령어 옵션 주요 정보입니다.

명령어내용

d

파티션을 삭제 합니다.

l

파티션 타입 종료를 조회합니다.

n

새로운 파티션을 추가합니다.

p

현재 디스크 정보를 보여줍니다.

v

파티션 테이블을 확인합니다.

i

파티션 정보를 보여줍니다.

Last updated